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오늘은 정치부 최선 기자 나왔습니다. 첫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김건희 여사의 팬클럽이 뭘 했을까요? <br><br>대통령의 일정을 스포일러했는데요. <br> <br>팬클럽 SNS에 대통령의 이틀 뒤 동선을 예고를 했는데, 바로 이겁니다. <br> <br>26일 낮시간 일정을 공지하며 '많은 참석과 홍보를 부탁드린다'고 올렸습니다. <br><br>Q. 최 기자가 지금 가리고 소개를 했는데, 대통령 동선은 기밀이라 그런거죠. <br><br>그렇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 출입기자들은 취재를 위해 미리 일정을 통보받지만, 국가원수의 경호와 안전을 위해 대통령 외부 일정은 일정이 끝날 때까지 공개하지 않습니다. <br><br>Q. 언론에 나오지도 않은 대통령 일정을 팬클럽은 어떻게 안 거에요? <br><br>대통령 경호처가 유출 경위를 파악 중인데요. <br> <br>대통령실은 지역 당원들이 행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알려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. <br><br>Q. 팬클럽을 통해서 대통령실 정보가 노출되는 게 처음이 아니잖아요. <br><br>네, 지난 5월 윤 대통령 내외가 용산 집무실에서 찍은 사진이 팬클럽에 가장 먼저 올라왔던 적도 있었죠. <br> <br>야당은 오늘 국기문란이라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[신현영 / 더불어민주당 대변인] <br>"대통령의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국기문란 사고입니다. 대통령실이 대통령 일정을 도대체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 것인지 참담합니다." <br> <br>홍준표 대구시장도 SNS에 "그런 카페는 윤 대통령을 국민들과 멀어지게 하고 나라를 더욱 어렵게 할 뿐"이라며 "이젠 해산하라"고 썼는데요.<br> <br>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"거듭 죄송하다"며 "되풀이되지 않도록 최선의 조치를 하겠다"고 사과했습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시겠습니다.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요즘 저 단어 많이 쓰네요. 체리따봉. <br><br>이준석 전 대표, 어제는 대통령을 신군부로 비유한 자신의 자필 탄원서가 공개돼 당내 비판을 받고 있는데요. <br> <br>오늘은 자신을 비판하는 당 사람들을 향해 이렇게 말했습니다. <br><br>"이준석 이야기해서 일천한 인지도 높여보려는 생각보다, 핸드폰 열고 오매불망 체리 따봉이나 많이들 기다리시기 바란다"<br> <br>체리 따봉은 윤석열 대통령이 내부총질을 언급하며 권성동 원내대표에 보낸 문자에 있던 이모티콘이죠. <br> <br>이 전 대표가 윤 대통령과 친윤계를 싸잡아 비꼬은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Q. 이 전 대표, 이제 당내 우군은 거의 없는 것 같아요. <br><br>이 전 대표, 오늘 인터뷰에서도 "내부총질 문자를 보내고, 그게 노출된 게 사태의 시작"이라며 "유감 표명이나 해명이 있었으면 여기까지 안 왔다"고 대통령 탓을 했는데요.<br> <br>연일 대통령을 공격하니 주변 사람들도 부담스러운 것 같습니다. <br><br>[최재형 /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(YTN라디오 '뉴스킹 박지훈입니다')] <br>"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겠지만 그래도 해야 될 표현이 있고 하지 않아야 될 표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[정미경 /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 (BBS라디오 '전영신의 아침저널')] <br>"윤석열 정부가 신군부라면 지금 이준석 대표 지금 이렇게 떠들도록 이렇게 놔두지도 않을 것 같아요. 이제 그만 멈춰야 됩니다." <br><br>Q. 마지막 주제 보겠습니다. 블로킹 대 원칙, 국회 법사위 이야기인가보죠? <br><br>오늘 열린 법사위 안건은 지난해 예산 결산이었는데요. <br> <br>야당 의원들이 예산 결산이 아닌 현안에 대해 질문을 시작하면서 여당과 공방이 벌어졌습니다. <br> <br>[김승원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오늘)]<br>"법무부에서 헌법재판소 소송을 담당하면서 (헌재) 출신을 변호사로 선임한, 즉 전관예우가 의심될 수 있는…." <br> <br>[김도읍 / 국회 법사위원장 (오늘)]<br>"2021년 회계연도 결산과 관련된 말씀만 하시라고." <br> <br>[전주혜 / 국민의힘 의원 (오늘)]<br>"(민주당은) 현안 질의를 슬쩍하는 꼼수 질의를 좀 지양해주시기를…." <br><br>Q. 글쎄요. 결산 하다가도 필요하면 현안 질문도 할 수 있는 거 아닌가요? <br><br>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여당이던 과거를 소환했는데요. <br> <br>그 때 민주당도 똑같이 예산 결산 때 현안 질의를 못하게 했다는 겁니다. <br><br>[기동민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오늘)]<br>"여당 의원님들 블록킹하시는 거 보면 현안 토론을 용납할 수 없다, 이런 마음이신 거 같아요. 운영의 묘 역시 발휘해 주셨으면…." <br> <br>[조수진 / 국민의힘 의원 (오늘)]<br>"갑자기 결산하는 자리에서 왜 (현안 관련) 질문도 못 하게 하느냐 이런 것은 전혀 앞뒤가 맞지 않는다. 2020년 9월 1일에 어떤 일이 있었냐." <br> <br>[김도읍 / 당시 법사위 미래통합당 간사 (2020년 9월)]<br>"위원장님!" <br> <br>[윤호중 / 당시 국회 법사위원장 (2020년 9월)]<br>"예?" <br> <br>[김도읍 / 당시 법사위 미래통합당 간사 (2020년 9월)]<br>"현안 질의…." <br> <br>[윤호중 / 당시 국회 법사위원장 (2020년 9월)]<br>"현안 질의는 의사일정에 포함이 안 되어 있는데요?" <br> <br>[김도읍 / 당시 법사위 미래통합당 간사 (2020년 9월)]<br>"(추미애 당시 법무부 장관 아들 관련) 새로운 사실이 발견됐잖아요." <br> <br>[윤호중 / 당시 국회 법사위원장 (2020년 9월)]<br>"정회를 선포합니다." <br> <br>[전주혜 / 국민의힘 의원 (오늘)]<br>"2년 전에도 현안 질의 좀 짧게 하자고 저희가 요청을 드렸습니다. 당시 민주당에 백혜련 간사가 뭐라 그랬냐면…." <br><br>[백혜련 / 당시 법사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(2020년 9월)]<br>"여태까지 우리가 (결산) 의결할 때 현안 질의한 적 없잖아요." <br><br>대선 이후 여야 공수가 바뀌었는데요. <br> <br>여나야나 입장이 바뀌면 어쩔 수 없나 봅니다.<br><br>Q. 서로 안 좋은 부분만 잘 배우는 것 같아요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구성: 최선 기자·김지숙 작가 <br>연출·편집: 이혜림PD·배영진PD <br>그래픽: 한정민 디자이너